한국의 나비
the Butterflies of Korea.
나비목(Lepidoptera)에 속하는 곤충 중에서 주로 더듬이가 두툼하게 발달한 특징을 가진 일부 분류군을 '나비'라 부른다. 그러나 미국나방나비는 더듬이가 실모양으로 나방과 비슷하다. 주로 주간성 활동특징을 보이며, 생태계에서 현화식물의 화분매개자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름다운 날개를 가지고 있어 인간의 많은 관심을 받아온 곤충이며, 날개는 비늘가루로 덮혀있고 대롱입을 가지고 있는 특징이 있다. 한반도에는 5과 280종이 기록되었으며, 이중 남한에서는 204종이 알려져 있다.
전세계 나비는 상과(super Family) 수준에서 크게 세 무리로 구분되며, 우리나라 종들은 두 상과로 구분된다. 더듬이 끝의 구조에서 명확히 구별되며, 호랑나비상과(Papilionoidea)는 곤봉형이며 팔랑나비상과(Hesperioidea)는 갈고리형이다. 호랑나비상과에는 호랑나비과, 흰나비과, 부전나비과, 네발나비과로 구성되며, 팔랑나비상과에는 팔랑나비과로 구성된다.
나머지 한 분류군인 미국나방나비상과(Hedyloidea)는 신열대구에 서식한다. 우리가 생각하는 통념적인 '나비 모습'과는 차이가 나는데, 생활사의 초기단계는 나비의 모습이지만 성충단계는 나방과 비슷한 모습이다.
상과 1. 미국나방나비상과(Hedyloidea)
우리나라에는 분포하지 않으며, 신열대구에만 서식하고 1과(Hedylidae) 1속(Macrosoma)에 36종 정도 알려져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통념적인 '나비 모습'과는 차이가 난다. 생활사의 초기단계인 알과 애벌레, 번데기는 나비의 모습이지만 성충단계는 나방과 비슷한 외형을 하며 더듬이도 실모양이다.
* 사진 링크 : 미국나방나비(Macrosoma hyacinthina)
상과 2. 팔랑나비상과(Hesperioidea)
과 1. 팔랑나비과(Hesperiidae)
알은 공모양으로 세로줄무늬로 융기선이 나타난다. 애벌레는 돌기가 없는 원통형이다. 번데기는 길쭉한 오뚜기 모양으로 머리쪽에 뿔모양의 돌기가 발달하고 흰가루가 덮여 있는 종도 있다.
전세계에 6아과 3000여종이 분포한다. 한반도에는 4아과 27속 37종이 알려져 있다.
상과 3. 호랑나비상과(Papilionidea)
과 2. 호랑나비과(Papilionidae)
대형 나비들로 대부분이 날개꼬리를 가지고 있다. 대부분 종이 꽃을 찾는 방화성 습성을 가지고 있고, 수컷에서는 계곡가나 젖은 땅에서 물을 마시는 행동이 관찰된다.
알은 공모양으로 종에 따라 야구공처럼 홈이 발달하기도 한다. 애벌레는 긴원통형으로 취각이 있거나 몸에 돌기가 발달하기도 한다. 번데기는 대용으로 머리에 뿔모양의 돌기가 발달한다.
전세계에 3아과 600여종이 분포한다. 한반도에는 2아과 6속 16종이 알려져 있다.
애호랑나비(Luehdorfia puziloi)
과 3. 흰나비과(Pieridae)
중형 나비들로 날개의 바탕색은 흰색이나 노란색, 주황색을 띤다. 대부분이 꽃을 찾는 방화성 습성을 가지고 있다.
알의 모양은 한쪽끝이 뾰족한 방추형이다. 애벌레는 긴원통형으로, 일부 종에서는 사회집단을 형성한다. 번데기는 대용으로, 머리쪽이 길쭉하며 돌기구조도 발달한다.
전세계에 4아과 1200여종이 분포한다. 한반도에는 3아과 9속 22종이 알려져 있다.
큰줄흰나비(Pieris melete)
암붉은점 녹색부전나비(Chrysozephyrus smaragdinus)
유리창나비(Dilipa fenest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