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한국의 개미

the Ants of Korea.

 

  한국의 개미에 대한 분류와 생물학적 정보를 제공합니다. 본 내용의 일부는 2006년 부터 2008년 까지 생태잡지 『자연과 생태』에 연재되었습니다. 본 홈페이지 글과 사진, 자료의 모든 저자권은 장용준에게 있으며, 무단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교육과 비영리적 목적으로 인용할 경우 출처를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상업적 이용시 '나투라 아카데미아'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Copyright ⓒ 2015 장용준.All rights reserved.

 

 

<인용출처>
 

장용준 2006 ~ 2008.    '부전나비와 개미의 공생과 공진화 ① ∼ ③', '한국 개미 분류와 생태 ① ∼ ⑤' 연재. 『자연과 생태』.

2. 개미의 생태
 

개미는 사회생활을 하는데, 그 유형은 계통마다 몇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지구생명체에서 가장 많은 생물질량을 차지하는 개미의 대부분 종들은 포식자로 지구의 먹이그물에 막강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생태계에서 생산자를 제외한 다양한 역할을 하여 육상생태계에서 여러 단계에서 활동을 한다. 개미야 말로 지구에서 중요한 조절자 생물이라 할 수 있다.

3. 개미와 공생자

 

개미는 다양한 생물들과 공생을 한다. 공생자(공생 상대자)의 분류군을 참으로 다양해서, 진딧물과 깍지벌레, 멸구를 비롯한 매미목의 여러 곤충과 함께 나비목의 부전나비, 딱절벌레목, 파리목의  다양한 종들과 관계를 맺는다. 비곤충성 공생자로는 진드기와 거미, 노래기, 쥐며느리, 선충류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다양한 개미들이 다른 개미종과 공생하는 사회진화 전략을 가지고 있다.

 

개미와 다른 생물 간 공생의 유형은 기생과 협동 등 다양한 단계로 구분된다.

bottom of page